django는 관리자 페이지를 기본으로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번 프로젝트(version2)에서는 기본으로 제공해주는 관리자 페이지 admin을
좀 더 꾸밀 수 있는 django-jazzmin을 사용해보았습니다.
jazzmin을 이번 프로젝트에 적용하기 전, 이전 프로젝트(version1)에서 어떻게 사용하였는지
확인해보기 위해 코드 비교 사이트를 이용하게 되었습니다.
이번 프로젝트도 이전 프로젝트와 마찬가지로 django-jazzmin을 admin에 적용하기로 했다.
적용 전, 기존 프로젝트에서는
https://github.com/farridav/django-jazzmin/blob/master/jazzmin/templates/admin/base.html를
어떻게 활용하였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하려면, base.html에서 어느 부분을 커스텀 하였는지 확실히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고,
소스 코드를 비교 분석할 수 있는 사이트를 이용하게 되었다.
다음으로 두 사이트를 소개해보고자 한다.
Diffchecker
Compare text Diffchecker will compare text to find the difference between two text files.Just paste your files and click Find Difference
www.diffchecker.com

데스크탑 버전은 30일 동안 무료로 사용할 수 있나보다.

Original Text 에는 깃헙에 있는 base.html를, Changed Text에는 분석해야 할 코드를 넣고
Find Difference를 클릭하면 코드를 비교해준다.

글씨 크기 및 UI가 보기에 나쁘지 않다.

소스 코드가 비교해서 라인을 클릭하면 어느 쪽으로 Merge 할 것인지 버튼을 눌러 정할 수 있는 기능이 존재한다.
Merge하면 자동적으로 비교해야 할 라인으로 이동한다.
Merge하지 않고, Next를 누르면 그 다음으로 비교해야 할 라인으로 이동 할 수 있다.


소스가 다른 라인은 노란 색상으로 표시 되는데, 이 라인을 클릭하면 아래에 어떤 부분이 다른지 표시해주는 점이 diffchecker보다 좋은 점이라고 말 할 수 있을 것 같다.

아래의 태그로 어떤 부분이 변경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이 DiffNow의 장점인 것 같다.
조금 더 사용해보면서 다른 기능들이 있는지 탐색해 봐야할 것 같다.
django는 관리자 페이지를 기본으로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번 프로젝트(version2)에서는 기본으로 제공해주는 관리자 페이지 admin을
좀 더 꾸밀 수 있는 django-jazzmin을 사용해보았습니다.
jazzmin을 이번 프로젝트에 적용하기 전, 이전 프로젝트(version1)에서 어떻게 사용하였는지
확인해보기 위해 코드 비교 사이트를 이용하게 되었습니다.
이번 프로젝트도 이전 프로젝트와 마찬가지로 django-jazzmin을 admin에 적용하기로 했다.
적용 전, 기존 프로젝트에서는
https://github.com/farridav/django-jazzmin/blob/master/jazzmin/templates/admin/base.html를
어떻게 활용하였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하려면, base.html에서 어느 부분을 커스텀 하였는지 확실히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고,
소스 코드를 비교 분석할 수 있는 사이트를 이용하게 되었다.
다음으로 두 사이트를 소개해보고자 한다.
Diffchecker
Compare text Diffchecker will compare text to find the difference between two text files.Just paste your files and click Find Difference
www.diffchecker.com

데스크탑 버전은 30일 동안 무료로 사용할 수 있나보다.

Original Text 에는 깃헙에 있는 base.html를, Changed Text에는 분석해야 할 코드를 넣고
Find Difference를 클릭하면 코드를 비교해준다.

글씨 크기 및 UI가 보기에 나쁘지 않다.

소스 코드가 비교해서 라인을 클릭하면 어느 쪽으로 Merge 할 것인지 버튼을 눌러 정할 수 있는 기능이 존재한다.
Merge하면 자동적으로 비교해야 할 라인으로 이동한다.
Merge하지 않고, Next를 누르면 그 다음으로 비교해야 할 라인으로 이동 할 수 있다.


소스가 다른 라인은 노란 색상으로 표시 되는데, 이 라인을 클릭하면 아래에 어떤 부분이 다른지 표시해주는 점이 diffchecker보다 좋은 점이라고 말 할 수 있을 것 같다.

아래의 태그로 어떤 부분이 변경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이 DiffNow의 장점인 것 같다.
조금 더 사용해보면서 다른 기능들이 있는지 탐색해 봐야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