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임워크(Framework)/Spring

myGoodPlace
[Spring] @Valid를 사용한 유효성 검사는 어디서하는걸까?
유효성 검사가 무엇일까? 무엇인지 알겠는데, 회원가입할 때 로그인 할 때.. 쓰는 그거..가 아니라 정확히 어떻게 표현하면 좋을까? 유효성 검사는 데이터가 서버에서 잘 작동하기 위해서, 서버가 정한 조건에 맞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프론트엔드를 통해 요청 온 데이터의 유효성은 어디서 검사하는 것이 더 좋아? Controller? Service? Repository? 서버에서 잘 작동한다는 것은 비즈니스 로직을 수행하는데 문제가 없다는 것이다. 그럼 로직 수행 전에 문제가 없는지 확인해야 할 필요가 있지 않을까? 비즈니스 로직을 수행하는 곳이 서비스니까, 컨트롤러에서 들어온 요청에 따른 데이터가 올바른지 확인해주면 될 것 같다는 결론이 나왔다! 그럼 유효성 검사는 어떻게 해? 컨트롤러에서 유효성 검사를 해줄..
[Spring] Servlet이랑 DispatcherServlet
서블릿(Servlet)을 알아보고, 디스패처서블릿(DispatcherServlet)을 알아보겠습니다! init, doGet 과 메서드를 수행해서 요청을 받는게 서블릿인데, 정확히 서블릿이 뭐지?! 그럼 디스패처 서블릿은 뭐가 다르다는거지? 스프링에서 사용하는거니까 서블릿을 상속받긴 했을텐데,, 라는 궁금증을 가지고 공부해본 것을 공유해보고자 합니다! 웹은 HTML로 시작되었는데, HTML은 Hyper Text Markup Language의 약어로, 텍스트에 초능력이 있다라는 의미가 담겨있습니다. 왜 초능력이 있다고 표현한걸까요? 그 이유는 바로, 링크를 통해 다른 곳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처음 사용했던 웹페이지는 모두 정적 페이지였습니다. 정적이란 뭘까요? 바로, 요청에 의해 페이지의 내..
[Spring] SpringContext와ApplicationContext는 같은걸까?!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Spring] DI의 생성자 주입 선호 이유를 테스트 코드에서 찾기(vs 필드 주입)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Spring] Bean관리 누가할래? in TEST (@SpringBootTest @Test 알고 쓰기)
@SpringBootTest 와 @Test의 가장 큰 차이는 Bean 관리 주체입니다. @SpringBootTest는 컴포넌트(Component)로 등록된 빈(Bean)을 관리하는 스프링 컨텍스트(Spring Context)를 로드한 후 테스트를 검증하기 때문에, 스프링이 의존 관계를 연결(DI)할 수 있습니다. @Test는 이러한 스프링 컨텍스트의 사용 없이, 테스트를 검증하기 때문에, 의존 관계를 연결할 수 없어 개발자가 직접 의존관계가 있는 빈을 연결해줘야 합니다. @SpringBootTest 어노테이션을 달면, 스프링 컨텍스트를 로드한 후부터 테스트를 검증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짧은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였더라도, 레포지토리(Repository)가 존재한다면 Database까지 모두 정상적으로 연..
[Spring] DTO는 왜 필요할까?
DTO(Data Transfer Object)를 직역해보면, 데이터 전송(전달) 객체라는 뜻이다. 이미 만들어놓은 도메인 객체를 사용하면 될텐데, 왜 DTO라는 객체라는 개념을 만들어서 사용해야하는걸까?! 과연, Transfer 전달을 위해서만 필요한 객체일까?! 그럼 도메인 객체를 Controller - Service - Repository(스프링 3계층)에서 모두 사용했을 때의 장점과 단점부터 알아보자! 장점하나의 객체만 사용하면, 관리할 것도 하나이기 때문에 편하다. (개발자가) 단점Controller - Service - Repository(스프링 3계층) 간의 이동 시에 데이터가 변경될 수 있다. 낮은 데이터 신뢰성사용자에게 보여줄 필요 없는(시스템에서 필요한) 데이터가 포함되어 이동되고, 사용..
[Spring] Data Binding의 3가지 방법
Data Binding이란? 단어 하나씩 뜯어보자면, 데이터 묶기! 요청 데이터를 우리 도메인 객체(Request DTO)로 담아(묶어)주거나 그 반대과정을 의미한다! 기본적인 타입 변환을 보고 가자@GetMapping("/hotels/{id}") @RequestBody public String getHotelById(@PathVariable int id) { return "hotelId" + id; }GetMapping시에 parameter값으로 날아오는 id를 받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때, id가 String인지 int인지 지정해주면, parameter를 자동적으로 변환해준다! 우리는 기본적인 타입 변환을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넘어가자 Converter Interface 이건 뭐얏?..
[Spring] IoC를 실현하기 위한 DI(의존 관계 주입) 방법 3가지
의존 관계를 주입할 수 있는 방법은 3가지다.필드 주입setter 주입생성자 주입 생성자가 단 1개라면, @Autowired 하지 않아도 스프링 컨테이너가 가지고 있는 스프링빈으로 의존관계를 주입해준다.이렇다는 것은 스프링이 현재 생성자 주입을 통해 의존 관계를 설정해주는 것을 밀고 있다는 뜻이 아닐까?! 그렇다면, 왜 필드 주입 방법과 setter 주입 방법은 생성자 주입 방법에 밀린걸까!?  필드 주입 방법의 단점생성자, setter 메서드를 통해 덮어쓰기가 가능하다.테스트를 작성할 때, 스프링 컨테이너에게 의존하게 된다.순환 참조를 실행시에 알 수 있다. (스프링버전 2.5 이후부터는 필드 주입도 순환 참조를 알 수 있음) setter 주입 방법의 단점외부에서 의도치 않게 값이 변경될 수 있다.
sooyeon-kr
'프레임워크(Framework)/Spring' 카테고리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