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네트워크의 기초
2. 1 네트워크의 기초
네트워크
개념
노드(node)와 노드가 있고, 링크(link)로 연결되어 있거나 연결되어 있지 않은 집합을 의미
종류
- 일반공중전화망(음성망)
- 방송통신망
- 인터넷(IP)망
⇒ 인터넷망에서 노드는 서버, 라우터, 스위치 등의 장치가 되고, 링크는 유선 또는 무선회선이 된다.
좋은 네트워크란?
안전하게 데이터 송수신을 많이, 빠르게 하는 것 ⇒ 처리량 ⬆️ 지연시간 ⬇️ 장애빈도 ⬇️ 보안 ⬆️
💡 처리량과 지연시간이 네트워크 성능 측정의 대표적인 지표
처리량(throughput)
링크(유무선회선)를 통해 전달되는 단위 시간당 데이터양
- bps(bits per second)로 측정했으나, 기술 발전으로 KBps MBps, GBps 단위로도 처리할 수 있다고 함 (https://aws.amazon.com/ko/compare/the-difference-between-throughput-and-latency/)
- 처리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사용자 접속 시 커지는 트래픽
- 네트워크 장치 간의 대역폭
- 네트워크 중간에 발생하는 에러
- 장치의 하드웨어 스펙
지연시간(latency)
요청이 처리되기까지 걸리는 시간
- 지연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매체 타입(유선, 무선)
- 패킷 크기
- 라우터의 패킷 처리 시간
네트워크 토폴로지 ← 네트워크 연결 방식
💡 네트워크 토폴로지는 병목 현상의 원인 중 하나가 될 수 있기때문에, 잘 알아둬야 함
- 트리(계층형)
- 버스
- 스타(성형)
- 링(고리형)
- 메시(망형)
트리 토폴로지
- 장점
- 추가 및 삭제가 쉬움
- 네트워크 확장이 쉬움
- 단점
- 특정 노드에 트래픽이 집중될 때 하위 노드에 영향을 끼칠 수 있음
- 중앙의 전송제어장치가 다운되면 전체 네트워크에 장애 발생
버스형 토폴로지
중앙통신회선에는 시작점, 끝점이 없음 어디가 끝인지 모르기때문에 터미네이터를 둬 끝을 지정해줌
하나의 노드가 전송을 하면, 브로드캐스트되어 다른 모든 노드가 수신 가능
- 장점
- 추가 및 삭제 쉬움
- 고장이 나도 전체 네트워크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
- 단점
- 한 노드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때, 다른 노드에서 이미 전송하고 있으면 충돌이 발생하여 나중에 다시 전송해야 함
- 스푸핑
스타(성형) 토폴로지
가장 일반적인 네트워크 구성
중앙에 허브가 있기 때문에, 처리능력과 신뢰성은 허브가 좌우
- 장점
- 에러 탐지 쉬움
- 패킷 충돌 발생 가능성 낮음
- 한 링크 혹은 노드의 문제 발생 시, 다른 노드에는 영향을 주지 않음
- 단점
- 중앙 노드에 장애 발생 시, 전체 네트워크 사용 불가
링(고리형) 토폴로지
각 노드들은 인접한 노드 두 개하고만 연결되어, 전체 네트워크는 하나의 원을 형성하는 토폴로지
- 장점
- 노드의 고장 발견을 쉽게 찾을 수 있음
- 신호를 받지 못하면 경보를 낼 수 있어서?
- 단점
- 링 결함 시, 전체 네트워크 사용 불가
메시(망형) 토폴로지
n(n-1)/2 개의 물리적 채널 필요
- 장점
- 한 단말 장치에서 장애 발생 시에도 네트워크 계속 사용 가능
- 트래픽 분산 처리 가능
- 단점
- 노드 추가 어려움
- 고가의 구축과 운용 비용
병목현상
병목현상이란?
전체 시스템의 성능이나 용량이 하나의 구성 요소로 인해 제한을 받는 현상
병목현상의 원인
- 네트워크 대역폭
- 네트워크 토폴로지
- 서버 CPU, 메모리 사용량
- 비효율적인 네트워크 구성
반응형
'CS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REST API를 꼭 지켜야하는걸까? (0) | 2024.07.05 |
---|